저는 네이버 부스트캠프 8기에 참가한 캠퍼입니다. 그룹프로젝트는 부스트캠프의 마지막 커리큘럼으로 팀을 구성해 6주간 주제선정부터 기획, 디자인, 서버 환경 구축, 개발까지 모두 완료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그 과정에서 의식적으로 성장해 나가기 위해 그룹 프로젝트의 주제보다는 의사소통, 선택의 이유, 더 깊은 학습, 문서작업등의 역량을 높이는데 집중해보려고 합니다. 글쓰기가 서툴러 충분히 기록하고, 전달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최선을 다해보겠습니다. 이 시리즈는 algo-with-me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모든 과정을 기록할 예정입니다. 레포지토리 구경오세요~ https://github.com/boostcampwm2023/web12-algo-with-me/tree/main 이번 포스트에서는 그룹 프로젝트 정식..
https://www.acmicpc.net/problem/7795 7795번: 먹을 것인가 먹힐 것인가 심해에는 두 종류의 생명체 A와 B가 존재한다. A는 B를 먹는다. A는 자기보다 크기가 작은 먹이만 먹을 수 있다. 예를 들어, A의 크기가 {8, 1, 7, 3, 1}이고, B의 크기가 {3, 6, 1}인 경우에 A가 B를 먹을 www.acmicpc.net 문제풀이 n과 m의 크기가 최대 20000이므로, 완전탐색을 하면 시간초과가 발생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더 좋은 방법을 생각하던중, 두 값을 정렬한 뒤 a를 순회하며 b에 이분탐색을 한 뒤 인덱스를 이용해서 더 작은 값의 개수를 구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풀이 방법이 바로 떠올라서 풀었는데, 이분탐색에서 막혀버렸다. 맨날 공식처럼 그냥 "값이 있..
https://www.acmicpc.net/problem/1337 1337번: 올바른 배열 첫째 줄에 배열의 크기 N이 주어진다. N은 5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배열의 원소가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진다. 원소는 1,000,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음이 아닌 정수이 www.acmicpc.net 문제풀이 접근 방법이 생각처럼 잘 떠오르지 않았다. 일단 연속되는 수를 찾아야 하기 때문에 정렬을 해 주어야겠다고 생각했다. 정렬한 값을 순서대로 보면서 어떻게 하면 추가해야 할 원소를 구할수 있지 않을까? 라고 고민해보았다. 그 결과 이런 방법이 떠올랐다. 정렬한 배열을 순회한다, 각 순회마다 배열 인덱스 1~4를 더한 곳의 배열 값을 가져와 현재 순회하는 배열의 값과 비교를 ..
https://www.acmicpc.net/problem/10799 10799번: 쇠막대기 여러 개의 쇠막대기를 레이저로 절단하려고 한다.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서 쇠막대기를 아래에서 위로 겹쳐 놓고, 레이저를 위에서 수직으로 발사하여 쇠막대기들을 자른다. 쇠막대기와 레이저 www.acmicpc.net 문제풀이 처음 문제를 딱 봤을 땐, 어 어려운데? 감이 잘 안오네 라는 생각을했다. 근데 왠지 모르게 본능적으로 스택을 써서 어떻게 하면 풀수 있을거란 생각이 났다. 문제를 많이 풀어보면서 생긴 느낌인가보다. 우선 레이저와 쇠막대기를 어떻게 구분할지 고민했는데, 이건 간단했다. 레이저는 바로 () 닫는 괄호가 나오고 쇠막대기는 그렇지 않다. 그렇다면 쇠막대기를 stack에 넣어주고, 레이저가 나온다면 두동강..
백엔드 직무로 지원했다. 신기하게도, c++사용이 불가능했다. java, javascript, python 세 언어만 사용이 가능해서 부랴부랴 python 문법 공부를 했다. 현대오토에버는 코딩 테스트 난이도가 높은 편이 아니라는 말을들어서 알고리즘 공부보다 파이썬 문법 공부를 더 열심히 했다. 총 3문제가 나왔고 시간은 3시간으로 매우 여유로웠다. 1번은 시간 초과를 생각하며 구현해야 하는 문제였고 2번은 구현 문제였다. 3번은 dp 문제를 조금 더 꼬아서 냈다. 1, 2 번은 풀어서 제출했지만, 3번은 아무리 생각해도 접근 방법이 시간초과 나는 경우밖에 생각나지 않아 풀지 못했다. dp 문제는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으면 풀기힘든 문제같다. 차라리 구현이 조금 복잡한 문제가 나오는게 개인적으로 더 취향..
https://softeer.ai/practice/6293 Softeer - 현대자동차그룹 SW인재확보플랫폼 남북으로 흐르는 개울에 동서로 징검다리가 놓여져 있다. 이 징검다리의 돌은 들쑥날쑥하여 높이가 모두 다르다. 철수는 개울의 서쪽에서 동쪽으로 높이가 점점 높은 돌을 밟으면서 개울을 지 softeer.ai 문제풀이 DP? 계열의 문제라고 생각된다. 문제 설명이 너무 간단해서 오해가 있었다. "연속된 증가하는 돌"이 아니라 그냥 점점 높이가 높아지기만 하면, 중간 돌들은 띄어 넘을 수 있다. 반복문을 돌면서 현재까지 오면서 밟을 수 있는 최대의 돌 개수를 구하면 된다. 이건 말이 더 어렵다 코드로 한줄이다. 코드를 보자. 코테 보는 회사가 C++이 안되서 파이썬으로 하는데 진짜 간단하긴 한것같다..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